성인 적정 수면시간은 얼마일까?
재테크/부동산 공부, 투자, 골프 등...
최근 하고 싶은 일이 많아졌다.
하지만, 두 아이 아빠에 직장인으로서
내가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은,
'출근 전', '출퇴근 시간', '퇴근 후' 정도...
이 중에서도 가장 집중할 수 있고,
온전히 나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은,
아무래도 '출근 전'이 아닐까 생각된다.
하지만...
나이를 먹을수로 왜 이렇게 잠을 이길 수가 없는지...
예전에는 맘만 먹으면 새벽 5시든 6시든 바로바로 일어났는데,
요즘은 출근 시간에 맞춰 일어나기에도 벅찬 기분이다.
그래서,
본격적인 내 시간을 마련해보기 위해,
성인의 적정 수면 시간이 어느 정도이고,
그래서 나는 몇 시에 자고 일어나면 되는지 알아보았다.
연령대별 적정 수면시간?
0-3개월
14~17시간
4-11개월
12~15시간
1-2세
11~14시간
3-5세
10~13시간
6-13세
9~11시간
14-17세
8~10시간
18-64세
7~9시간
65세 이상
7~8시간
출처: 미국수면센타NSF
위와 같이
적정 수면시간은
연령대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애들은 먹고 놀고 자는게 일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시나 가장 많은 수면 시간이 필요하고,
나이들면 아침 잠이 없다는 여느 어르신들의 말처럼
연령대가 높을 수록 적정 수면 시간은 더 적게 나타났다.
이 기준에 따르면,
성인들의 적정 수면 시간은 7~9시간으로
나의 경우, 출근 전 2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새벽 5시에는 일어나야 하니까
밤 8시~10시에는 잠에 들어야 한다.
헉!
퇴근하고 집에 도착하면 평균 밤 9시니까,
집에 도착하자마자 바로 자야 하는 건가... ㅠㅠ
잘 자기 위해 노력하자!
적정 수면 시간을 지키는 것이
건강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지는 모두 알고는 있지만,
현실상 지키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 나라가 OECD 회원국 중,
근무시간은 최다이고,
수면 시간은 최하위인 것만봐도,
우리네 현실은 녹록치 않다.
분명 어쩔 수 없는 일들이 많겠지만,
그래도 모르고 지키지 않는 것과,
알고 지키려고 노력하는 것은 다르지 않을까?
본인을 위해, 가족들을 위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착한 어른이가 되어 보는건 어떨까?
마지막으로 자는 시간도 중요하지만,
잠의 질도 중요한 법!
[올바른 수면법]
하루에 최소 7~9시간 수면하기!
잠자는 시간, 일어나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잠자는 환경은 되도록 어둡게!
올바른 자세로 잠들기!
실외 활동을 늘리기!
올바른 수면법 보시고
오늘도 잘자요~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희망키움통장 자격 알아보고 신청하세요! (0) | 2021.12.16 |
---|---|
증여세율 및 증여세 면제 한도액 그리고 신고 방법까지! (0) | 2021.01.15 |
복지넷 사이트 구인 구직 방법 가이드 (0) | 2020.02.10 |
코로나 알리미 사이트 바로가기 및 활용방법! (0) | 2020.02.07 |
카카오페이 송금받기 및 송금취소 방법 가이드 - 최신 리뉴얼 버전 (0) | 2020.02.06 |